교통과 은혜..
출 2:16-25
2:16 미디안 제사장에게 일곱 딸이 있었더니 그들이 와서 물을 길어 구유에 채우고 그들의 아버지의 양 떼에게 먹이려 하는데
2:17 목자들이 와서 그들을 쫓는지라 모세가 일어나 그들을 도와 그 양 떼에게 먹이니라
2:18 그들이 그들의 아버지 르우엘에게 이를 때에 아버지가 이르되 너희가 오늘은 어찌하여 이같이 속히 돌아오느냐
2:19 그들이 이르되 한 애굽 사람이 우리를 목자들의 손에서 건져내고 우리를 위하여 물을 길어 양 떼에게 먹였나이다
2:20 아버지가 딸들에게 이르되 그 사람이 어디에 있느냐 너희가 어찌하여 그 사람을 버려두고 왔느냐 그를 청하여 음식을 대접하라 하였더라
2:21 모세가 그와 동거하기를 기뻐하매 그가 그의 딸 십보라를 모세에게 주었더니
2:22 그가 아들을 낳으매 모세가 그의 이름을 게르솜이라 하여 이르되 내가 타국에서 나그네가 되었음이라 하였더라
2:23 여러 해 후에 애굽 왕은 죽었고 이스라엘 자손은 고된 노동으로 말미암아 탄식하며 부르짖으니 그 고된 노동으로 말미암아 부르짖는 소리가 하나님께 상달된지라
2:24 하나님이 그들의 고통 소리를 들으시고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세운 그의 언약을 기억하사
2:25 하나님이 이스라엘 자손을 돌보셨고 하나님이 그들을 기억하셨더라
1. 교통
모세는 르우엘의 딸들을 도와주고.. 르우엘은 모세를 찾는다.
'그 사람이 어디에 있느냐.. 어찌하여 그 사람을 버려두고 왔느냐.. 청하여 음식을 대접하라..'
교통은 마음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다.
실질적인 나눔과 헌신.. 희생의 모습이 있어야 한다.
서로의 실천적인 삶이 결국.. 더욱 깊어지는 교통을 낳게 되는 것이다.
내안에 있는 마음만으로는 안된다.
실천적인 모습으로 드러나져야 한다.
더욱 삶을 나누며.. 함께 할 수 있어야 한다.
함께 먹고.. 함께 웃고.. 함께 우는.. 것.. 그것이 바로 공동체요.. 신앙이다..
2. 은혜
모세는 광야로 내몰렸다.
그런데.. 그 사이에 애굽의 이스라엘 백성들의 상황은 더욱 힘들어졌다.
더욱 고된 노동으로 탄식하며 부르짖게 되는..
하지만.. 모세는.. 비록.. 왕궁의 삶에서 쫓김받았지만.. 광야에서 자유인으로 살며.. 평안을 누리게 된다.
고난.. 고통이 기회가 되어 모세에게 임한 것이다.
결코.. 작은 일.. 상황에.. 연연해 할 필요가 없다.
하나님의 손에 있음이 중요한 것이다. 그러면.. 때가 되면 역사해 주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