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말씀앞에서...
느 13:1-9
13:1 그 날 모세의 책을 낭독하여 백성에게 들렸는데 그 책에 기록하기를 암몬 사람과 모압 사람은 영원히 하나님의 총회에 들어오지 못하리니
13:2 이는 그들이 양식과 물로 이스라엘 자손을 영접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발람에게 뇌물을 주어 저주하게 하였음이라 그러나 우리 하나님이 그 저주를 돌이켜 복이 되게 하셨다 하였는지라
13:3 백성이 이 율법을 듣고 곧 섞인 무리를 이스라엘 가운데에서 모두 분리하였느니라
13:4 이전에 우리 하나님의 전의 방을 맡은 제사장 엘리아십이 도비야와 연락이 있었으므로
13:5 도비야를 위하여 한 큰 방을 만들었으니 그 방은 원래 소제물과 유향과 그릇과 또 레위 사람들과 노래하는 자들과 문지기들에게 십일조로 주는 곡물과 새 포도주와 기름과 또 제사장들에게 주는 거제물을 두는 곳이라
13:6 그 때에는 내가 예루살렘에 있지 아니하였느니라 바벨론 왕 아닥사스다 삼십이년에 내가 왕에게 나아갔다가 며칠 후에 왕에게 말미를 청하고
13:7 예루살렘에 이르러서야 엘리아십이 도비야를 위하여 하나님의 전 뜰에 방을 만든 악한 일을 안지라
13:8 내가 심히 근심하여 도비야의 세간을 그 방 밖으로 다 내어 던지고
13:9 명령하여 그 방을 정결하게 하고 하나님의 전의 그릇과 소제물과 유향을 다시 그리로 들여놓았느니라
모든 일의 결국은.. 말씀으로... 이다..
모든 영광.. 헌신.. 다짐.. 후에 또 다시.. 백성들은 모세의 책.. 말씀을 들었다.
그리고 들려진 말씀 속에서 또 다시 자신들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돌이켰다.
그것이 암몬.. 모압사람에 대한 말씀이었으며.. 자신들안에 있는 도비야..에 관한 일이었다.
그렇다.. 결국은 말씀..인 것이다.. 말씀..이어야 하는 것이다.
어떤 은혜도.. 영광도.. 기쁨도.. 헌신도..
그것이 제대로인 것이 되기 위해서는.. 말씀앞에 다시 서야 하는 것이다.
말씀을 듣고.. 읽고.. 그 말씀에서부터 시작하는 것.. 여기에 진정성..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실천이다.
들려졌다면.. 들린바대로 실천해야 하는 것..
사실.. 당시 도비야..는 막강한 힘을 가진.. 자였다.
그에게는 세력..이 있었다.. 그러니.. 감히 성전에 자신의 방..을 만들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느헤미야는.. 여전히 말씀앞에서..의 삶을 실천했다.
도비야의 세간을 다 던져버리고.. 다시금 방을 정결하게 하는..
분명.. 쉽지 않은 일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말씀대로.. 말씀에 의지하여 실행한 것이다.
말씀..이다.
말씀..이 양식이 되어야 하고..
말씀..이 이끄는대로 나아가야 한다.
말씀이 아닌.. 다른 것에 영향받고.. 다른것이 주도한다면.. 그것은 진짜..가 될 수 없다.
오늘 내가 살아가는 삶.. 삶의 방식.. 여러 대안들...
그것들안에 말씀이 있는가? 말씀이 인도하고.. 가르치는 바..인가?
다시금 점검하고 돌아보자..
그러기 위해 오늘 하루.. 더욱 말씀앞에 서는 하루..를 보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