롬 9:19-29
19. 혹 네가 내게 말하기를 그러면 하나님이 어찌하여 허물하시느냐 누가 그 뜻을 대적하느냐 하리니
20. 이 사람아 네가 누구이기에 감히 하나님께 반문하느냐 지음을 받은 물건이 지은 자에게 어찌 나를 이같이 만들었느냐 말하겠느냐
21. 토기장이가 진흙 한 덩이로 하나는 귀히 쓸 그릇을, 하나는 천히 쓸 그릇을 만들 권한이 없느냐
22. 만일 하나님이 그의 진노를 보이시고 그의 능력을 알게 하고자 하사 멸하기로 준비된 진노의 그릇을 오래 참으심으로 관용하시고
23. 또한 영광 받기로 예비하신 바 긍휼의 그릇에 대하여 그 영광의 풍성함을 알게 하고자 하셨을지라도 무슨 말을 하리요
24. 이 그릇은 우리니 곧 유대인 중에서뿐 아니라 이방인 중에서도 부르신 자니라
25. 호세아의 글에도 이르기를 내가 내 백성 아닌 자를 내 백성이라, 사랑하지 아니한 자를 사랑한 자라 부르리라
26. 너희는 내 백성이 아니라 한 그 곳에서 그들이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으리라 함과 같으니라
27. 또 이사야가 이스라엘에 관하여 외치되 이스라엘 자손들의 수가 비록 바다의 모래 같을지라도 남은 자만 구원을 받으리니
28. 주께서 땅 위에서 그 말씀을 이루고 속히 시행하시리라 하셨느니라
29. 또한 이사야가 미리 말한 바 만일 만군의 주께서 우리에게 씨를 남겨 두지 아니하셨더라면 우리가 소돔과 같이 되고 고모라와 같았으리로다 함과 같으니라
하나님의 주권을 이야기했었다.
그 말에 사람들은 반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럼 하나님이 어떻게 책망하실 수 있느냐?'
'누가 하나님의 뜻을 대적한다는 것이냐?'
즉, 하나님께 모든 일의 책임.. 인간의 잘못과 허물에 대한 책임까지 전가하려는 것이다.
하지만, 바울은 말한다..
토기장이의 비유로...
토기장이가 진흙으로 자신이 원하는 그릇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토기장이는 충분히 그런 권한이 있고, 그 권한을 행사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도 그러하시다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은 당신의 주권을 세상속에.. 인간들속에서 충분히 행사하실 수 있으신 것이다.
하나님의 주권..이다.
이 주권을 인정하고 살아가는 것.. 이것이 믿음의 삶이고, 신앙.. 크리스천의 삶인 것이다.
전적인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받아들여 살아가는 것..
조금도 의심하지 않고, 하나님앞에서 순종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것...
오늘 하루.. 그러한 모습으로 살아가고 싶다.
조금도 하나님의 의심하지 않고, 전적으로 믿으며.. 신실함으로 살아내는...
19. 혹 네가 내게 말하기를 그러면 하나님이 어찌하여 허물하시느냐 누가 그 뜻을 대적하느냐 하리니
20. 이 사람아 네가 누구이기에 감히 하나님께 반문하느냐 지음을 받은 물건이 지은 자에게 어찌 나를 이같이 만들었느냐 말하겠느냐
21. 토기장이가 진흙 한 덩이로 하나는 귀히 쓸 그릇을, 하나는 천히 쓸 그릇을 만들 권한이 없느냐
22. 만일 하나님이 그의 진노를 보이시고 그의 능력을 알게 하고자 하사 멸하기로 준비된 진노의 그릇을 오래 참으심으로 관용하시고
23. 또한 영광 받기로 예비하신 바 긍휼의 그릇에 대하여 그 영광의 풍성함을 알게 하고자 하셨을지라도 무슨 말을 하리요
24. 이 그릇은 우리니 곧 유대인 중에서뿐 아니라 이방인 중에서도 부르신 자니라
25. 호세아의 글에도 이르기를 내가 내 백성 아닌 자를 내 백성이라, 사랑하지 아니한 자를 사랑한 자라 부르리라
26. 너희는 내 백성이 아니라 한 그 곳에서 그들이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으리라 함과 같으니라
27. 또 이사야가 이스라엘에 관하여 외치되 이스라엘 자손들의 수가 비록 바다의 모래 같을지라도 남은 자만 구원을 받으리니
28. 주께서 땅 위에서 그 말씀을 이루고 속히 시행하시리라 하셨느니라
29. 또한 이사야가 미리 말한 바 만일 만군의 주께서 우리에게 씨를 남겨 두지 아니하셨더라면 우리가 소돔과 같이 되고 고모라와 같았으리로다 함과 같으니라
하나님의 주권을 이야기했었다.
그 말에 사람들은 반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럼 하나님이 어떻게 책망하실 수 있느냐?'
'누가 하나님의 뜻을 대적한다는 것이냐?'
즉, 하나님께 모든 일의 책임.. 인간의 잘못과 허물에 대한 책임까지 전가하려는 것이다.
하지만, 바울은 말한다..
토기장이의 비유로...
토기장이가 진흙으로 자신이 원하는 그릇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토기장이는 충분히 그런 권한이 있고, 그 권한을 행사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도 그러하시다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은 당신의 주권을 세상속에.. 인간들속에서 충분히 행사하실 수 있으신 것이다.
하나님의 주권..이다.
이 주권을 인정하고 살아가는 것.. 이것이 믿음의 삶이고, 신앙.. 크리스천의 삶인 것이다.
전적인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받아들여 살아가는 것..
조금도 의심하지 않고, 하나님앞에서 순종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것...
오늘 하루.. 그러한 모습으로 살아가고 싶다.
조금도 하나님의 의심하지 않고, 전적으로 믿으며.. 신실함으로 살아내는...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도를 전함 (0) | 2021.09.07 |
---|---|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 (0) | 2021.09.06 |
오직 하나님의 뜻하심대로.. (0) | 2021.09.02 |
약속..이다.. (0) | 2021.09.01 |
누가 대적하리요.. (0) | 2021.08.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