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하 19:1-8
19: | 1 | 어떤 사람이 요압에게 아뢰되 왕이 압살롬을 위하여 울며 슬퍼하시나이다 하니 |
2 | 왕이 그 아들을 위하여 슬퍼한다 함이 그 날에 백성들에게 들리매 그 날의 승리가 모든 백성에게 슬픔이 된지라 | |
3 | 그 날에 백성들이 싸움에 쫓겨 부끄러워 도망함 같이 가만히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 |
4 | 왕이 그의 얼굴을 가리고 큰 소리로 부르되 내 아들 압살롬아 압살롬아 내 아들아 내 아들아 하니 | |
5 | 요압이 집에 들어가서 왕께 말씀 드리되 왕께서 오늘 왕의 생명과 왕의 자녀의 생명과 처첩과 비빈들의 생명을 구원한 모든 부하들의 얼굴을 부끄럽게 하시니 | |
6 | 이는 왕께서 미워하는 자는 사랑하시며 사랑하는 자는 미워하시고 오늘 지휘관들과 부하들을 멸시하심을 나타내심이라 오늘 내가 깨달으니 만일 압살롬이 살고 오늘 우리가 다 죽었더면 왕이 마땅히 여기실 뻔하였나이다 | |
7 | 이제 곧 일어나 나가 왕의 부하들의 마음을 위로하여 말씀하옵소서 내가 여호와를 두고 맹세하옵나니 왕이 만일 나가지 아니하시면 오늘 밤에 한 사람도 왕과 함께 머물지 아니할지라 그리하면 그 화가 왕이 젊었을 때부터 지금까지 당하신 모든 화보다 더욱 심하리이다 하니 | |
8 | 왕이 일어나 성문에 앉으매 어떤 사람이 모든 백성에게 말하되 왕이 문에 앉아 계신다 하니 모든 백성이 왕 앞으로 나아오니라 이스라엘은 이미 각기 장막으로 도망하였더라 |
압살롬을 잃은 다윗.. 그가 슬퍼한다.
어제 묵상처럼.. 그것이 아버지의 마음이며.. 자신의 죄를 인정하는 자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러한 슬픔이.. 또 다른 문제를 가져왔다.
다윗을 위해 목숨바쳐 싸운 자들을 부끄럽게 만든 것이다.
그래서, 요압은 간언을 하고.. 다윗은 백성앞에 다시 서게 된다..
분명 슬펐을 것이다..
그러나, 다윗은 다시금 자기 자리에 선다.
왜?
그것이 자신의 슬픔보다 옳은 모습이기에..
자신이 잘못한 일로.. 다른 백성들이 괴로와해서는 안되었기에...
이러한 다윗을 묵상하며.. 중심을 지킴..에 대해 생각해본다.
다윗은 중심을 지키는 자리에 있는 자였다.
왕이.. 왕으로서.. 결코.. 자신의 감정에만 충실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그것도.. 자신의 연약함.. 실수에서 기인한 문제를 가지고....
오히려 중심을 지킬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슬퍼함보다.. 더 중요한 모습은.. 차라리 회개함.. 기도함..이었을 것이다.
압살롬을 울며 부를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도우심.. 하나님의 긍휼함.. 자신의 범죄.. 그간의 백성들의 고통..을 기억하며..
엎드렸어야 하는 것이다.
오늘 나의 모습도.. 그러하다.. 중심을 지키자.. 중심을 지켜야 한다.
건강하지 못한 모습들속에서.. 그저 슬퍼하며.. 안타까와만 할 수 없다.
오히려.. 주님앞에 서야 한다.
오히려.. 말씀앞에 서야 한다.
그래서.. 말..들로 인한.. 계속된 슬픔과 한탄과 애매함이 아닌..
오히려 하나님의 뜻을 구하며.. 중심을 세우고 주어진 일을 감당해 나가야 하는 것이다.
그러한 하루.. 시작하자..
말을 아끼고.. 인정하고.. 집중하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