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 34:1-11
1.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과 그의 모든 군대와 그의 통치하에 있는 땅의 모든 나라와 모든 백성이 예루살렘과 그 모든 성읍을 칠 때에 말씀이 여호와께로부터 예레미야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2.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너는 가서 유다의 시드기야 왕에게 아뢰어 이르기를 여호와의 말씀에 보라 내가 이 성을 바벨론 왕의 손에 넘기리니 그가 이 성을 불사를 것이라
3. 네가 그의 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반드시 사로잡혀 그의 손에 넘겨져서 네 눈은 바벨론 왕의 눈을 볼 것이며 그의 입은 네 입을 마주 대하여 말할 것이요 너는 바벨론으로 가리라
4. 그러나 유다의 시드기야 왕이여 여호와의 말씀을 들으라 여호와께서 네게 대하여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네가 칼에 죽지 아니하고
5. 평안히 죽을 것이며 사람이 너보다 먼저 있은 네 조상들 곧 선왕들에게 분향하던 것 같이 네게 분향하며 너를 위하여 애통하기를 슬프다 주여 하리니 이는 내가 말하였음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하시니라
6. 선지자 예레미야가 이 모든 말씀을 예루살렘에서 유다의 시드기야 왕에게 아뢰니라
7. 그 때에 바벨론의 왕의 군대가 예루살렘과 유다의 남은 모든 성읍들을 쳤으니 곧 라기스와 아세가라 유다의 견고한 성읍 중에 이것들만 남았음이더라
8. 시드기야 왕이 예루살렘에 있는 모든 백성과 한 가지로 하나님 앞에서 계약을 맺고 자유를 선포한 후에 여호와께로부터 말씀이 예레미야에게 임하니라
9. 그 계약은 사람마다 각기 히브리 남녀 노비를 놓아 자유롭게 하고 그의 동족 유다인을 종으로 삼지 못하게 한 것이라
10. 이 계약에 가담한 고관들과 모든 백성이 각기 노비를 자유롭게 하고 다시는 종을 삼지 말라 함을 듣고 순복하여 놓았더니
11. 후에 그들의 뜻이 변하여 자유를 주었던 노비를 끌어다가 복종시켜 다시 노비로 삼았더라
시드기야의 죽음에 대해 선포되었다.
그 선포앞에서 시드기야는 한가지 행동을 한다.
백성들의 노예해방이다.
노예되었던 자들을 풀어주는 일을 행한 것이다.
이 일의 성격.. 잘 가늠되지 않는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시드기야는 이러한 계약.. 해방의 계약을 다시 깨뜨렸다는 것이다.
"후에 그들의 뜻이 변하여 자유를 주었던 노비를 끌어다가 복종시켜 다시 노비를 삼았더라.."
노예해방을 한 시드기야의 중심..이 무엇이었든.. 분명한 것은 그가 그 스스로의 계약을 깨고, 다시 노예로 삼은 것이다.
이렇다는 것은.. 적어도, 시드기야의 중심이 결코 선하고, 온전치 못했음을 말하는 것이다.
당시의 상황속에서 임기응변의 모습으로 행한 것이 노예해방이었고,
그것은 결국.. 얍삽한 인간의 어리석음을 보여준 행동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한마디로 온전치 못한 중심.. 변질된 중심이었던 것이다.
하나님앞에서 이런 모습을 나도 행할때가 있다.
온전치 못한.. 다짐했던 마음이 변질되는...
하나님은 이런 중심을 기뻐하지 않으신다.
다음말씀에 보겠지만, 분명 하나님은 진노하실 것이다.
이러한 시드기야의 중심을 책망받고, 이 또한 징계의 이유..가 되어지는 것이다.
온전한 중심..이어야 한다.
작은 일 하나를 하더라도, 온전함으로.. 변질되지 않는 중심..이어야 하는 것이다.
내게 주어진 삶과 사역.. 온전함으로 감당해나가자.
적어도 어떤 상황.. 환경때문에 변질되는.. 온전치 못한 중심이 아닌. 하나님의 기뻐하심을 좇는 중심으로 살아가자.
1.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과 그의 모든 군대와 그의 통치하에 있는 땅의 모든 나라와 모든 백성이 예루살렘과 그 모든 성읍을 칠 때에 말씀이 여호와께로부터 예레미야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2.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너는 가서 유다의 시드기야 왕에게 아뢰어 이르기를 여호와의 말씀에 보라 내가 이 성을 바벨론 왕의 손에 넘기리니 그가 이 성을 불사를 것이라
3. 네가 그의 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반드시 사로잡혀 그의 손에 넘겨져서 네 눈은 바벨론 왕의 눈을 볼 것이며 그의 입은 네 입을 마주 대하여 말할 것이요 너는 바벨론으로 가리라
4. 그러나 유다의 시드기야 왕이여 여호와의 말씀을 들으라 여호와께서 네게 대하여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네가 칼에 죽지 아니하고
5. 평안히 죽을 것이며 사람이 너보다 먼저 있은 네 조상들 곧 선왕들에게 분향하던 것 같이 네게 분향하며 너를 위하여 애통하기를 슬프다 주여 하리니 이는 내가 말하였음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하시니라
6. 선지자 예레미야가 이 모든 말씀을 예루살렘에서 유다의 시드기야 왕에게 아뢰니라
7. 그 때에 바벨론의 왕의 군대가 예루살렘과 유다의 남은 모든 성읍들을 쳤으니 곧 라기스와 아세가라 유다의 견고한 성읍 중에 이것들만 남았음이더라
8. 시드기야 왕이 예루살렘에 있는 모든 백성과 한 가지로 하나님 앞에서 계약을 맺고 자유를 선포한 후에 여호와께로부터 말씀이 예레미야에게 임하니라
9. 그 계약은 사람마다 각기 히브리 남녀 노비를 놓아 자유롭게 하고 그의 동족 유다인을 종으로 삼지 못하게 한 것이라
10. 이 계약에 가담한 고관들과 모든 백성이 각기 노비를 자유롭게 하고 다시는 종을 삼지 말라 함을 듣고 순복하여 놓았더니
11. 후에 그들의 뜻이 변하여 자유를 주었던 노비를 끌어다가 복종시켜 다시 노비로 삼았더라
시드기야의 죽음에 대해 선포되었다.
그 선포앞에서 시드기야는 한가지 행동을 한다.
백성들의 노예해방이다.
노예되었던 자들을 풀어주는 일을 행한 것이다.
이 일의 성격.. 잘 가늠되지 않는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시드기야는 이러한 계약.. 해방의 계약을 다시 깨뜨렸다는 것이다.
"후에 그들의 뜻이 변하여 자유를 주었던 노비를 끌어다가 복종시켜 다시 노비를 삼았더라.."
노예해방을 한 시드기야의 중심..이 무엇이었든.. 분명한 것은 그가 그 스스로의 계약을 깨고, 다시 노예로 삼은 것이다.
이렇다는 것은.. 적어도, 시드기야의 중심이 결코 선하고, 온전치 못했음을 말하는 것이다.
당시의 상황속에서 임기응변의 모습으로 행한 것이 노예해방이었고,
그것은 결국.. 얍삽한 인간의 어리석음을 보여준 행동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한마디로 온전치 못한 중심.. 변질된 중심이었던 것이다.
하나님앞에서 이런 모습을 나도 행할때가 있다.
온전치 못한.. 다짐했던 마음이 변질되는...
하나님은 이런 중심을 기뻐하지 않으신다.
다음말씀에 보겠지만, 분명 하나님은 진노하실 것이다.
이러한 시드기야의 중심을 책망받고, 이 또한 징계의 이유..가 되어지는 것이다.
온전한 중심..이어야 한다.
작은 일 하나를 하더라도, 온전함으로.. 변질되지 않는 중심..이어야 하는 것이다.
내게 주어진 삶과 사역.. 온전함으로 감당해나가자.
적어도 어떤 상황.. 환경때문에 변질되는.. 온전치 못한 중심이 아닌. 하나님의 기뻐하심을 좇는 중심으로 살아가자.
댓글